본문 바로가기

스크랩 자료

[스크랩] 월호 스님 금강경 강의 12

월호 스님 금강경 강의 12 


1. 법회가 열리게 된 동기 


공양시간, 차제걸이



무한한 보배가 담긴 다이아몬드 수트라, 금강경과 함께 하는 세상

에서 가장 유쾌한 공부 시간입
니다. 다 같이 합장하시고, 마하반야

바라밀 세 번 염하겠습니다.

 

마하반야바라밀 마하반야바라밀 마하반야바라밀


네, 오늘도 행불 독송집「본마음 참나」58쪽 제1분과 함께 읽어

보겠습니
다.

 

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


이와 같이 난 들었다.
어느 때에 부처님은 사위국에 계시면서 큰비구

중 일천이백 오십인과 머물
렀다. 그런 때에 세존께서 공양시간 맞추

어서 옷을 입고 발우 들고 사위대성 들어가서 차제대로
걸식한 뒤, 

본래 자
리 돌아와서 공양을- 끝내시고 가사 발우 거두시고 발을 씻고
 
자리 펴서 편
안히- 앉으셨다.


네, 금강경 제1분과 지금 하고 있습니다.
어느 분이 그러시데요, "아

직도 제1분과 하고 계십니
까?" 하하하~ 네, 경전은 물론 빨리빨리 

읽고 넘어 갈 수도 있지마는 특히 서두, 첫 시작하는 부
분은 천천히 

워밍업을
해서.
강원에서 공부할 때는요, 앞에 서문, 지난 번에 언뜻 

소개해 드렸
죠? 금강경 일물서. 유일물어차하니~ 이렇게 나가는. 

일물서를 다 배우고, 다 외우고, 이렇게
하는데만 상당히 걸립니다. 

그래서 서문 또 주석, 여러가지 주석에, 서문들 이래가지고 금강경

 

본문에 들어가기 전까지 거의 뭐 한 달 이상을 하루에 2시간씩 해서 

한 달 정도를 공부하고 나
서야 본문에 들어 가게 되요. 우리는 지금 

굉장히 빠른 겁니다, 하하하~


자, `이와 같이 난 들었다.
어느 때에 부처님은 사위국에 계시면서 

큰비구중 일천이백 오십인과
물렀다.` 거기 설명드렸구요, 그 다

음에 `그런 때에 세존
께서 공양시간 맞추어서 옷을 입고 발
들고 

사위대성 들어가서 차제대로 걸식한 뒤`
이 세존께서 공양 시간에 

맞추어서 옷을 입고,
우 들고, 사위성, 슈라바스티에 들어가서 

걸식을 하셨다. 이렇게 되어 있는데 여기서 공양 시이라는 것은 

우리 시간으로 따지면 진시(
時)라
고 그러
죠. 7시부터 9시에 보통 

속가에서 공
을 많이 하죠. 아침 출근 시간 맞추어서 7시부터 9시 

사이.
근데 부처님께서는 성 안에 사신 아니고, 성에서 약간 떨

어진, 성 밖에 보통 이렇게 머무셨어
요. 
보통 성문에서 2km 정도 

떨어진 곳에서 주로 머무셨다고 합니다. 


그래서 미리 사람들이 공양할 시간 정도, 다시말해
서 7시에서 9시 

정도에 맞추어서 가서 탁발
을 해 가지고,  탁발을 해서 공양을 자시

게 되며는
그 시간이 바로 사시(巳時)가 되는 겁니다. 9시부터 11시 

사이. 그래서 하루에 한끼씩 공양을 하
셨습니다. 그래서 요새도 절

에서는 사시마지(巳時摩旨)라고 해서 9시에서 11시 사이에 불단에 

공양
을 올리죠. 그게 바로 과거에 이런 전통에서 비롯된 겁니다. 

그래서 9시에서 11시까지 사시
공양을 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7시

에서 9시, 다시말해서 일반인들이
아침을 먹거나, 또는 먹고 나서 

음식믈이 아직 남아 있을 때, 또는 음식을 만들어서 미리 챙겨 놓았

을 때, 그 때 탁
을 나가시는 거죠.


그래서 그 사위대성 들어가서 탁발을 하는데, 차제걸이라고 해서 

차제대로 걸식했다.
차제대로 걸식했다는 것은 바로 어느 한 집에

서 걸식을 시작하며는 거기부터 일곱 집을 걸식을
하셨다그럽

니다.
부처님의 제자 가운데 가섭존자 같은 이는 걸식을 다닐 때 

가난한 집만 골라서 다녔다 그래요.
또 다른 제자는 부유한 집만 

골라서 다녔다고 합니다.
그래서 사람들이 물어 봤죠. "당신은 왜

 

가난한 집만 걸식을 하러 다닙니까?" 그래서 이 제자는 말씀하시길. 

"아~ 이 사람들이 전생에
복을 못 지어서 이렇게 가난하게 사는데, 

지금이라도 복을 짓게 해 주어야,
가난을 면할 것이 아니냐." 이런 

말씀을 하셨고.
또 다른 스님은 "가난한 사람은 자기 먹을 것도 없

는데 부잣집으로
다녀야 되는 거  아니냐?" 이렇게 해서 서로 어느 

정도 나름대로 일리가 있죠. 


그러나 부처님께
서는 그렇게 하지 말고 무조건 이 한 집에서 시작

하면 가난한 집과 부잣집 차별을
두지 말고, 하나, 둘, 셋, 넷, 다섯, 

여섯, 일곱 집 해서 연속해서 일곱 집을 다니거라.
그래서 그것이 

바로 차
제걸이라고 하는 겁니다. 무조건 시작한 집부터 시작해서 

일곱 집을 다니신 것이고, 걸식이라는
것은 바로 부처님께서 이런 

걸식을 안 하셔도 얼마든지 편히 호의호식을 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

하고 걸식을 한 것은 바로
중생들에게 복을 짓게 하기 위해서다.


부처님을 복전 이라고 그러죠. 복밭.
부처님, 부처님의 가르침, 그 

다음에 부처님의 제자들이야
로 진정한 복밭이라고 하는 것입니다. 

그래서 복전함
(福田函) 이렇게 얘길 하는데, 그래서 중
들과 연을 

맺기 위해서, 중생들에세 복을 짓게
하기 위해서 이렇게 일부러 

걸식을 하셨다 이
게 알면 되겠습니다.

출처 : 호암산방
글쓴이 : 관문 원글보기
메모 :